재미있는 漢子 이야기
호빵의 '호(胡)', 무슨 뜻일까?
우리에게 친숙한 '호빵', '호떡', '호박' 같은 단어들. 그런데 이 앞에 붙은 '호(胡)'라는 글자가 무슨 뜻인지 궁금하신 적 있나요? 사실 '호(胡)'는 단순한 글자가 아니라, 과거 중국에서 사용하던 특정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호(胡)'는 오랑캐를 뜻한다?
'호(胡)'는 원래 중국에서 북방의 이민족을 가리키는 말이었습니다. 춘추전국시대 이후, 중국 북쪽에 살던 호나라가 있었는데 그 뒤부터 중국인들은 북방 민족을 '호'라고 부르게 되었죠. 역사 속에서 등장하는 흉노, 몽골, 만주, 여진, 숙신 등의 민족이 바로 이러한 '호'에 포함됩니다.
그렇다면 왜 우리 일상 속 단어들에도 '호'가 붙게 되었을까요?
'호'가 붙은 단어들, 그 유래는?
과거 중국에서는 북방 지역에서 온 물건이나 문화에 '호'라는 접두사를 붙이곤 했습니다. 이러한 전통이 한국에도 전해지면서 외국에서 유래한 물건이나 음식에 '호'가 붙게 되었죠.
* 호떡(胡餠), 호빵 – 중국에서 유래한 밀가루 음식으로, 원나라 때 우리나라로 전해졌습니다. 몽골의 지배를 받았던 고려시대에 다양한 중국식 문화가 들어왔죠.
* 호루라기(胡角) – 원래는 만주인이 사용하던 뿔로 만든 피리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래서 '호각'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 호래자식(胡奴子息) – '호노자식'이라고도 불리며, 본래 '오랑캐의 자식'이라는 뜻이었습니다. 혈통을 중시하던 시절에는 상당히 모욕적인 표현으로 사용되었죠.
'호'가 외국을 뜻하게 된 이유
시간이 지나면서 꼭 북쪽 이민족이 아니라도, 외국에서 들어온 것에는 '호'라는 접두사가 붙게 되었습니다.
* 호박 – 외국에서 들어온 박이라는 뜻에서 유래했습니다.
* 호밀 – 외국에서 들어온 밀이라는 의미입니다.
*호주머니(胡-) – 외국에서 들어온 방식의 주머니란 뜻입니다. 과거 우리나라에는 주머니를 따로 만들지 않고 옷고름에 걸어 매던 방식이 일반적이었죠.
* 호콩 – 땅콩의 옛말로, 외국에서 들어온 콩이라는 의미입니다.
*후추(胡椒) – 본래 '호추'였지만, 음운 변화를 거쳐 '후추'가 되었습니다. 외국에서 전해진 향신료라는 뜻이죠.
결론: '호'가 들어간 단어의 공통점
우리말 속에서 '호'가 들어간 단어들은 대부분 외국에서 온 것 또는 과거 중국에서 북방 민족과 관련이 있는 것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평소 익숙하게 사용하던 단어들의 숨은 뜻을 알고 나니, 더 흥미롭지 않나요?
다음번에 '호'가 붙은 단어를 만나면, 그 유래를 한번쯤 떠올려 보세요!
'뿌리깊은이야기 > 漢字로 본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창호'는 어떤 뜻일까? 지명에서 유래한 흥미로운 표현 (0) | 2025.03.09 |
---|---|
한자문화이야기 - 한자로 이해하는 우리나라 전국 8도 (1) | 2025.03.06 |
한자로 본 지하철역名 신당(新堂驛) '신당神堂을 모신 동네' (0) | 2025.02.16 |
한자로 본 지하철역 名 '여의도'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