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뿌리깊은이야기/漢字로 본 세상

나이별로 표현하는 한자어, 알고 계신가요?

by 제제꼬 2025. 4. 28.
반응형

한자로 캐는 문화 이야기 입니다 . 오늘은 나이를 표현하는 다양한 한자어와 그 뜻을 알아봅니다. 충년, 지학, 불혹, 이순 등 나이에 따른 인생의 단계를 한자어로 풀어 설명해보려고 해요.

나이란 사람이나 동물이 세상에 태어나 살아온 햇수를 의미합니다.
우리는 흔히 "나이를 먹는다"고 표현하며, 일상 속에서도 나이에 관한 다양한 한자어를 사용합니다.
대표적으로 연령(年齡), 춘추(春秋), 연세(年歲) 등이 있지요.
또한 "나잇값 못 한다", "나이는 못 속인다", "죽은 자식 나이 세기", "미운 일곱 살"처럼
나이를 빗대어 삶의 지혜를 담은 속담들도 많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나이에 따라 지켜야 할 예와 도리가 있다고 여겼습니다.
그래서 각 나이별로 특정 한자어를 정해, 인생의 단계를 관조하고자 했던 것입니다.
오늘은 나이에 따른 한자어 표현을 하나하나 살펴보며 그 의미를 풀어보겠습니다.


나이별 한자어 정리

충년(沖年)

  • : 열 살 전후의 어린 나이
  • 풀이: '충(沖)'은 '비다, 어리다'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충년은 아직 세상의 경험이 부족한, 열 살 남짓한 어린 시기를 말합니다.

지학(志學)

  • : 열다섯 살
  • 유래: 공자가 『논어 위정편』에서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다"고 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지학은 인생의 목표나 학문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파과(破瓜)

  • : 열여섯 살
  • 풀이: '과(瓜)'를 파자(破字)하면  '팔(八)'이 두 개 나오는데, 이를 합하면 16이 됩니다. 팔(八)을 두개 곱해
  • 64세를 칭하기도 합니다. 파과 16세를 또는 64세를 가리킵니다.

과년(瓜年)

  1. : 결혼 적령기의 16세의 여성을가리킵니다.
  2. : 과거에는 여자의 결혼 적령기를 16세로 보았기 때문에 "과년한 여식"이라는 표현이 생겼습니다.
    과년은 파과와 비슷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방년(芳年)

  • : 꽃다운 스무 살 전후
  • 풀이: '방(芳)'은 '꽃답다'는 뜻입니다.
    방년은 특히 여성의 아름다운 청춘 시기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약관(弱冠)

  • : 스무 살 전후의 남성
  • 유래: 예로부터 남성은 스무 살이 되면 갓(冠)을 쓰는 관례가 있었습니다.
    약관은 성인이 된 젊은 남성을 의미합니다.

이립(而立)

  • : 서른 살
  • 유래: 공자가 『논어 위정편』에서 "서른에 자립했다"고 말한 데서 유래했습니다.
    이립은 자신만의 주관과 인격을 확립하는 나이를 뜻합니다.

이모(二毛)

  • : 서른두 살
  • 풀이: '이모'는 검은 머리털과 흰 머리털이 섞이기 시작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진나라의 빈악이 32세에 머리가 반백이 된 데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불혹(不惑)

  • : 마흔 살
  • 유래: 공자는 "마흔에 세상일에 미혹되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불혹은 마흔이 되어 세상일에 흔들림이 없게 되는 경지를 나타냅니다.

상년(桑年)

  • : 마흔여덟 살
  • 풀이: '상(桑)'은 뽕나무를 뜻합니다. 상(桑)의 약자인 '桒' (상)이라는 글자를 파자(破字)하면  十(10)이 네 번,                        八(8)이 한 번 들어가 있는데, 이 숫자를 더하면 48이 됩니다. 따라서 상년은 48세를 상징하는 말입니다.

지천명(知天命)

  • : 쉰 살
  • 유래: 공자가 "쉰에 하늘의 명을 알았다"고 말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지천명은 50세가 되어 인생의 흐름과 운명을 깨닫고 순응하게 되는 나이를 뜻합니다.

이순(耳順)

  • : 예순 살
  • 풀이: 공자는 "예순이 되자 귀가 순해졌다"고 했습니다.
    이순은 타인의 말에 귀를 기울이며 세상을 포용하는 경지를 뜻하는 60세를 가리킵니다.

육순(六旬)

  • : 예순 살
  • 풀이: '순(旬)'은 본래 열흘을 뜻하지만, 십 년을 가리키는 뜻도 있습니다.
    육순은 여섯 번의 십 년, 즉 60세를 표현하는 말입니다.

 


★연령별 한자어 정리표★

10세 전후 충년(沖年) 어린 나이 '충(沖)'은 비다, 어리다를 뜻함. 세상을 모르는 순수한 시기
15세 지학(志學) 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 공자가 말한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다"에서 유래
16세 파과(破瓜) 과일을 쪼갠다는 뜻, 성숙한 나이 '瓜'를 파자하면 8+8=16, 여자의 성숙을 상징
16세 과년(瓜年) 결혼 적령기 과년한 여식이라는 표현, 주로 여성을 지칭
20세 전후(여성) 방년(芳年) 꽃다운 나이 여성의 아름다운 청춘을 의미
20세 전후 (남성) 약관(弱冠) 갓을 쓰는 나이 성인이 된 젊은 남성을 지칭
30세 이립(而立) 자립하는 나이 서른에 주관을 확립한다는 공자의 말에서 유래
32세 이모(二毛) 흑백이 섞이기 시작하는 나이 머리에 흰 털이 나기 시작하는 시기
40세 불혹(不惑) 미혹되지 않는 나이 마흔이 되어 세상일에 흔들리지 않게 됨
48세 상년(桑年) 48세를 상징 '桑(상)'자를 풀어 10이 네 번, 8이 한 번(48)
50세 지천명(知天命) 하늘의 뜻을 아는 나이 쉰에 인생의 흐름을 깨닫는 경지
60세 이순(耳順) 귀가 순해지는 나이 남의 말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경지
60세 육순(六旬) 예순 살 10년을 뜻하는 '旬'이 여섯 번, 즉 60세

마무리하며

나이는 단순히 세월을 뜻하는 숫자가 아닙니다.
각 나이에는 삶의 이정표인생의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한자어로 나이를 정리하며
인생의 단계마다 어떤 자세로 살아야 하는지 고민해왔습니다.
지금 여러분은 어느 나이에 머물러 계신가요?
오늘 이 글을 통해 나이에 담긴 깊은 뜻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60세 이후는 다음 글에서 만나요


 #파과뜻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