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방 # 오미 # 오음1 「한자로 들여다보는 문화」 숫자 三, 四, 五가 담고 있는 의미 사람들에게 "가장 좋아하는 숫자가 뭐예요?"라고 물어보면 누구나 떠오르는 숫자가 하나쯤은 있을 거예요. 숫자에는 단순한 수치를 넘어서 문화적 의미와 감정이 담기기 마련입니다. 특히 동양문화권에서는 숫자의 발음이나 상징적인 뜻에 따라 길한 수(吉數)와 흉한 수(凶數)를 구분하며, 예부터 생활 속에서 선호하거나 꺼리는 숫자들이 생겨났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중에서도 특히 자주 등장하고 상징적으로 쓰이는 숫자 3, 4, 5가 동양문화에서 어떤 의미를 갖고,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는지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숫자 3 三의 의미유비는 제갈공명을 설득하기 위해 三顧草廬(삼고초려)했고, 맹자의 어머 니는 교육을 위해 三遷之敎(삼천지교)했고,만세를 부를때는 三唱(삼창)을 하고, 사람에게는 지켜야 할 三綱(삼강)이 있고.. 2025. 5.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