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뿌리깊은이야기/漢字로 본 세상

당(唐) 자가 들어간 단어, 그 의미를 아시나요?

by 제제꼬 2025. 5. 9.
300x250
반응형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단어 중에 '당근', '당면', '당나귀', '당닭'처럼 ‘당(唐)’자가 들어간 말들이 있습니다.
이 단어들 속 '당(唐)'은 어떤 의미일까요? 오늘은 한자 속에 숨겨진 문화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당(唐)'자는 무엇을 의미할까?

‘당(唐)’은 중국의 고대 왕조 중 하나인 당나라를 뜻합니다.
삼국시대(고구려, 백제, 신라)가 한반도에 존재하던 시절, 당나라는 중국 대륙에 존재하며 여러 차례 한반도를 침략하거나 교류한 강대국이었습니다. 당시에는 가장 선진국이 당나라이었기 때문에 당나라의 제도 법 등 선진문물을 다른 나라에서 받아 제도화시키는 게 일반화되었던  시기였습니다.

이처럼 ‘당(唐)’이 들어간 단어는 대부분 당나라 혹은 중국에서 유래되었거나, 중국 문물의 영향을 받은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당(唐)자가 들어간 지명과 음악

● 당진(唐津)

충청남도 서해안에 위치한 당진은 신라 시대에 당나라와 교역하던 항구로, ‘당나라로 가는 나루터’라는 뜻에서 지명이 유래되었습니다.

● 국악의 당악(唐樂)

우리 전통 음악은 크게 아악, 향악, 당악으로 나뉘는데, 이 중 당악은 당나라와 송나라에서 전래된 중국식 음악을 의미합니다.
반면 **향악(鄕樂)**은 우리 고유의 음악으로, 당악과 대비되는 개념입니다.


중국에서 온 좋은 것들: 당근, 당면, 당나귀, 당닭

예전에는 중국에서 들어온 물건이나 품종이 **‘고급스럽고 귀한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당(唐)’자를 붙이곤 했습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볼까요?

● 당근(唐根) 또는 홍당무(紅唐무)

‘홍당무’는 붉은 빛을 띠는 중국산 무라는 뜻입니다.
‘당근’이라는 말은 중국에서 들어온 맛있고 단 뿌리채소라는 의미로, ‘당(唐)’과 ‘근(根)’을 합친 말입니다.

● 당면(唐麵)

당면은 고구마 녹말로 만든 면으로, 중국에서 유래된 음식입니다.
면발의 질감이 탁월해 잡채뿐만 아니라 다양한 중화요리와 한식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 당나귀(唐--)

‘당나귀’는 신라 시대에 당나라에서 들어온 나귀 품종으로, 귀가 길고 힘이 세며 특이한 생김새를 지녔다 하여 그렇게 불리게 되었습니다.
고려시대 승려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에 처음 등장합니다.

● 당닭

‘당닭’은 외국에서 개량된 품종으로, 깃털이 화려한 관상용 닭입니다.
중국산이라기보다는 외래종으로, 일반 닭보다 외모가 뛰어나 ‘당’자를 붙인 경우입니다.


‘당’의 의미가 바뀐 오늘날

예전에는 ‘당(唐)’자가 붙으면 좋은 것, 귀한 것, 선진 문물을 의미했지만,
오늘날에는 ‘중국산’이라는 단어가 저품질, 위생 문제 등 부정적인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처럼 언어 속에 시대 흐름과 문화 변화가 녹아 있는 것을 보면,
하나의 단어 속에서도 우리가 살아온 역사를 엿볼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당(唐)’이라는 한 글자 안에도 우리 조상들이 중국과 어떤 관계를 맺어왔는지,
그리고 어떤 가치관과 문화를 공유했는지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일상 속 단어 하나에도 역사가 숨어 있다는 사실, 참 흥미롭지 않으신가요?


 

300x250
반응형